1년이상 근무한 경우레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한 곳에서 확인해 볼수 있는데 퇴직금 세금은 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퇴직금 세금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금말고 퇴직금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확인해주세요
퇴직금 세금은 퇴직금을 얼만큼 받는지에 따라 결정되는데 위의 글에서 퇴직금을 계산하신 분은 그 금액에서 세금을 계산하기면 됩니다.
퇴직금 세액을 계산 하실때에는 근속연수 공제와 환산급여별 공제를 제하고 퇴직금액의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이 적용됩니다.
근속연수공제
근속연수 | 공제액 |
5년이하 | 30만원 X 근속연수 |
5년초과 10년이하 |
150만원 +50만원 X (근속연수 - 5년) |
10년초과 20년이하 |
400만원 + 80만원 X (근속연수 -10년) |
20년초과 | 1,200만원 + 120만원 X (근속연수 -20년) |
환산급여별 공제
환산급여 | 공제액 |
800만원 이하 | 환산급여의 100% |
800만원 초과 7000만원 이하 |
800만원 + (800만원 초과분의 60%) |
70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 |
4,520만원 +(7,000만원 초과분의 55%) |
1억원 초과 3억원 이하 |
6170만원 + (1억원 초과분의 45%) |
3억원 초과 | 1억 5170만원 + (3억원 초과분의 35%) |
종합소득 기본세율
과세표준 | 세율 | 공제액 |
1,200만원 이하 | 6% | - |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1.5억원 이하 | 35% | 1490만원 |
3억원 이하 | 38% | 1940만원 |
5억원 이하 | 40% | 2540만원 |
5억원 이상 | 42% | 3540만원 |
위의 표를 참고하시고 퇴직금과 근속연수를 확인후 퇴직금 세금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직접 계산을 하시려면 이게 맞는 건지 고민이 많이 되실 텐데요 국세청에서 퇴직금 세액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가셔서 엑셀 파일을 내려받아 정보를 입력해주시면 계산이 되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퇴직금 세금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퇴직금도 소득이기 때문에 세금을 내야 하는것을 인지 하시고 얼마나 내야 할지 확인 하시면 좋을 것 같아 정보공유합니다.
'라이프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확인 (0) | 2020.10.27 |
---|---|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사이트 (0) | 2020.10.27 |
한전 전기요금 조회 카드 납부 하는 방법 (0) | 2020.10.27 |
이건희 회장 별세 헉 상속세만 10조 (0) | 2020.10.26 |
태양광 설치비용 보조금 지원받기 (0) | 2020.10.26 |
댓글